[AI] 일하는 흐름을 자동화 설계로 바꾸는 방법
2025. 5. 16. 10:46ㆍAI
반응형
안녕하세요, 하루 코딩입니다.
오늘은 반복 업무 자동화를 넘어,
‘업무 흐름’을 구조화해서 자동화 설계로 전환하는 방법을 이야기합니다.
많은 조직에서 자동화를 시도하지만,
실제 설계 단계에서 막히는 경우가 많죠.
그 이유는 대부분, ‘사람의 사고 흐름’을 시스템 흐름으로 바꾸지 못해서입니다.
🧠 왜 자동화 전에 ‘업무 흐름’을 알아야 할까?
자동화의 본질은 **‘흐름의 반복을 컴퓨터가 대신하는 것’**입니다.
즉, 일의 순서가 없으면 자동화도 없습니다.
AI든, RPA든, Power Automate든
**‘언제 무엇을 어떻게 처리할지’**가 선명해야 자동화가 작동합니다.
🔍 업무 흐름을 자동화 구조로 바꾸는 3단계
1. 사람 중심 흐름 → 데이터 중심 흐름으로 전환
사람 사고방식자동화 관점 변환
“파일 오면 열어보고 정리해” | → 파일 수신 → 정리 로직 정의 → 저장 |
“일단 보고서 초안 써서 팀장에게 보냄” | → 초안 생성(GPT) → 검토 요청 메일 자동 발송 |
📝 모든 동작을 명령 단위로 분해하는 것이 핵심!
2. 흐름을 순서도 형태로 정리하기
예시: 이메일 수신 후 보고서 작성
css
복사편집
[수신자 확인] ↓ [첨부파일 저장] ↓ [데이터 정리] ↓ [요약 보고서 생성] ↓ [메일로 전송]
이렇게 플로우를 그리면
→ Power Automate, UiPath 등에서 순서 그대로 적용 가능!
3. AI + 자동화 도구로 역할 배분
단계도구예시
데이터 수신 | Power Automate, Outlook 트리거 | 특정 제목 메일 수신 시 시작 |
정리/요약 | GPT API, Excel | 첨부파일 요약, 정제 |
의사결정 도움 | GPT, 조건 로직 | 내용에 따라 담당자 구분 |
알림/전송 | Teams, Slack, Outlook | 요약본 자동 공유 또는 메일 발송 |
🎯 실무 적용 팁
- 업무 매뉴얼 = 자동화 설계서
- 자동화 흐름에 예외처리도 미리 포함
- 의사결정 구간은 AI 제안 + 사람이 승인 구조로 설계
- 팀원과 함께 그려보는 ‘업무지도’ 방식도 효과적
🎨 오늘의 네컷만화: 흐름을 알면 자동화가 보인다
- 실무자: “자동화 하고 싶은데… 어디부터 설계해야 하지?”
- 동료: “일하는 순서를 그냥 적어봐. 그게 바로 플로우야.”
- 순서대로 정리된 업무 플로우가 화면에 나타남
- 실무자: “이제 자동화 도구에 넣기만 하면 되겠다!”
마무리하며
자동화는 기술보다 정리의 힘에서 시작됩니다.
‘내가 무의식적으로 하는 일’을 명확한 흐름으로 정리하는 순간,
그건 바로 자동화 설계서가 됩니다.
AI는 도와주기 위해 기다리고 있습니다.
먼저 ‘일의 순서’를 그려보세요.
🏷️ 태그
#하루코딩 #업무흐름자동화 #플로우설계 #PowerAutomate #RPA기초 #GPT활용 #자동화마인드셋 #업무시각화 #스마트워크 #자동화기획
반응형
'AI'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 사내 문서 검색 자동화 – GPT로 지식 탐색을 바꾸는 방법 (2) | 2025.05.21 |
---|---|
[AI] 사내 GPT 챗봇 도입 시 고려할 5가지 핵심 포인트 (6) | 2025.05.20 |
[AI] 교육자료도 자동으로 요약되고 변환되는 시대 (5) | 2025.05.14 |
[AI] 사내 뉴스레터, 이젠 AI가 편집장이다 (6) | 2025.05.13 |
[AI] 사내 FAQ, 이제는 챗봇이 응답합니다 (0) | 2025.05.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