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PA]자동화 실패? 개선하면 진짜 혁신이 된다

2025. 5. 30. 13:54RPA

반응형

하루코딩이 경험한 자동화 리팩토링 사례

안녕하세요, 하루코딩입니다.
어제 포스팅에서는 자동화가 실패하는 다양한 이유들을 정리해봤습니다.
오늘은 그 실패한 자동화를 어떻게 개선해서 실제 업무 효율을 높였는지를 공유해보려 합니다.

실패를 ‘접고’ 다시 수동으로 돌아가는 것도 한 방법이지만,
문제를 분석하고 리팩토링하면 진짜 ‘계속 쓰고 싶은 자동화’가 됩니다.


1. 실패의 원인부터 재정의: 반복 구조가 맞는가?

실패한 자동화 A 사례:

  • 보고서 자동 작성 RPA
  • 조건 9단계, 복잡한 분기
  • 매일 바뀌는 데이터 포맷에 취약

이 자동화를 개선하기 위해 가장 먼저 한 일은,

"이 업무가 진짜 자동화에 적합한가?"
를 다시 질문한 것이었습니다.

결론: 데이터 전처리만 자동화하고 보고서 작성은 수동 유지

👉 전체 자동화보다, 부분 자동화 + 예외 보완이 더 효율적이었습니다.


2. 현업의 '직접 제어권'을 추가하라

개선 후 B 자동화 시스템에는 아래 기능을 추가했습니다.

기능설명
🟩 조건 수동 전환 토글 자동화 흐름 중간에 "수동 전환" 버튼 추가
🟩 에러 시 로그 번역 모듈 에러 로그를 사람이 이해하기 쉬운 언어로 출력
🟩 실패 시 자동 리트라이 특정 조건 오류 시, 자동으로 1회 재시도
 

기술적으로 큰 개선은 없었지만, 사용자 친화도가 비약적으로 올라갔습니다.

👉 기술보다 중요한 건 신뢰감입니다.


3. 실패 로그는 개선의 보고다

과거에는 자동화가 실패하면 그냥 재시작이 전부였습니다.
이제는 실패할 때마다 로그가 자동 누적되고,
그 로그를 기반으로 주 1회 리포트를 만들어 봅니다.

예시 리포트:

text
복사편집
📌 RPA 실패 리포트 (2025-05-28) - 총 시도 횟수: 42 - 실패 건수: 3 - 주요 원인: ① 외부 시스템 응답 지연 (2건) ② 파일 포맷 변경 감지 실패 (1건)

👉 데이터를 쌓고 분석하면,
그 자동화는 점점 똑똑해집니다.


4. ‘작게, 자주, 확실하게’ 개선하라

자동화는 한 번에 대단한 걸 만들 필요 없습니다.
오히려 아래처럼 개선을 반복하는 것이 훨씬 지속가능합니다.

개선 주기개선 항목결과
매주 실패 원인 리포트 기반 조건 정리 실패율 40% → 10%
2주 사용자 교육 + 예외 사례 공유 사용 만족도 70% 이상
1개월 새 기능 테스트 → 점진적 배포 자동화 항목 1 → 3개 확장
 

마무리: 자동화는 '완성품'이 아니라 '진화하는 구조'다

실패는 끝이 아니라,
지속 가능한 자동화를 만드는 출발점입니다.

하루코딩은 오늘도 작은 실패를 기록하고,
그 실패를 개선해서 **‘진짜 쓸만한 자동화’**를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자동화를 잘 만들고 싶다면?

기능보다 중요한 건, '유지하고 싶은 구조'입니다.

반응형